-
도커로 DNS 서버 올리기Docker 2020. 8. 9. 16:45
프론트 단에서 영상을 업로드해야되는 기능을 사용하게 됬다.
그 과정에서 반드시 https를 사용했어야 했고 우리는 SSL을 신청하게 되었다.
SSL을 신청하여 업로드가 정상적으로 되었지만..
https를 사용하면 예쁜(?) 자물쇠모양이 url 옆에 떠야하지만
내부IP를 사용하느라 url을 ip주소로 접근하다보니 자꾸만 "주의요함"이라는 경고가 떴다.
이렇게 "주의요함"의 경고문구를 없애기위해 내부IP를 도메인등록을 해주기로 하였다.
도메인을 등록하려면 필요한 것이 도메인 서버!!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https://www.naver.com 의 주소를 입력하면
이 도메인이 실제 어떤 IP의 주소인지 DNS 서버를 통해 찾게 된다.
DNS 서버는 해당 도메인이 등록된 IP주소를 알려주고, 사용자는 네이버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도커로 DNS 서버를 올리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Dockerfile
FROM sameersbn/bind:latest
컴포즈파일
version: "3.8" services: yu_dns-server: build: ./dns-server image: yu_dns_server container_name: yu_dns_server environment: - "ROOT_PASSWORD=${DNS_ROOT_PASSWORD}" ports: - "10000:10000" volumes: # 나중에 컨테이너를 내렸을 때도 설정한 DNS 셋팅이 날라가지 않게 반드시 볼륨을 잡아준다. - /srv/docker/bind:/data restart: always
나는 예전에 볼륨을 잡지않고 DNS 셋팅을 모두 하다가 컨테이너를 내려버리는 바람에 모든 셋팅을 날린 적이 있다.....
반드시 저 경로로 볼륨을 잡아주도록 한다.
ROOT 패스워드는 환경변수로 준다.
이렇게 DNS 서버를 쉽게 올릴 수 있다.
DNS를 셋팅하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 올리겠다.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편하게 도커 컨테이너 보기 (0) 2020.07.27 도커위에서 세팅할때의 에러테스트 (0) 2020.07.20 도커 이미지ID 중복될 때 제거 (0) 2020.07.20 Docker 기본 명령어 (0) 2020.06.01